8월 4일 문득

세상은 바뀌는데 나는 뭐 하고 있나라는 생각. 이것을 뭐라고 하는지도 잘 모르는 나. 세상이 이를 어떻게 정의하는지 찾아봤다 FOMO(Fear of Missing Out) 세상이 빠르게 변하는 걸 보면서 자신은 제자리에 머물러 있다고 느끼는 감정. 다른 사람들이 새로운 경험을 하거나 성공하는 모습을 보면서 자신만 뒤처지는 것 같은 불안감을 느끼는 현상. 상대적 박탈감 타인과 비교했을 때 자신이 갖지 못한 것에 대해 느끼는 서운함이나 불만족스러운 감정 존재론적 불안 ‘나는 왜 살고 있는가’ 실존적 위기 ‘나의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 상대적 박탈감과 실존적 위기 언뜻 보기에 관련이 없어보이긴 하다. 사회적 관계에서 발생하는 상대적 박탈감은 실존적 위기라는 내면적 혼란과 공허함으로 감정이동을 시키지 않나 싶다. 인간은 생각이 너무 넓다

사업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는 이유

 노동임금에 대한 재무적 위기 상황이 닥쳤을 때 이를 해결할 방법이 없다. 

Git 필수 명령어 (실무에서 통하는)

  저장소 초기화 git init .git 이라는 숨겨진 폴더가 생성된다 신규/수정 파일을 스태이지에 올리기 git add . : 모든파일을 추가 git add <파일명> : <파일명>만 스테이지 등록 스테이지 : 커밋 할 수 있는 파일 상태. 스테이지에 등록되지 않은 것들은 커밋할 수 없다 상태확인 git status 커밋로그 확인 git log git log --oneline --graph 브랜치 관리 git branch : 브랜치 목록 확인 git branch <신규브랜치명> : 신규 브랜치 생성 git checkout <브랜치명> : 브랜치 변경 git checkout -b <신규브랜치명> : 신규 브랜치 생성하면서 브랜치 변경 브랜치간 병함 머지가 될 브랜치로 이동 후 git merge <현재브랜치로 합칠 브랜치명> 원격 저장소 git remote add origin <원격리파지토리주소> : 원격 리파지토리주소를 로컬 리파지토리에 등록하기 github등에서 clone한 상태라면 이미 등록되어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저장소를 orgin으로 만들어준다. 다른거 사용해도 되지만 헷갈림 <원격리파지토리주소> 는 github, gitlab 등 원격에 마련된 리파지토리의 주소를 말한다 git push -u origin <브랜치명> 등록된 원격 리파지토리로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origin 에 등록된 주소다 git pull origin <브랜치명> 원격 저장소의 변경사항을 가져와 현재 로컬 브랜치로 병합시킨다 push 전 커밋 합치기 (rebase, squash) git rebase -i HEAD~3 : 가장 마지막 커밋부터 3개를 선택한다는 뜻 편집창이 나타나면 가장마지막을 제외하고 나머지 두 커밋의 ‘pick’을 ‘s’ 로 변경 여...

VIM ESC키 한글 문제 해결 방법(windows)

  autohotkey 설치 https://www.autohotkey.com/ esc_force_english.ahk 파일 작성 컴파일해서 실행파일로 만들어 준다 버전 1.x로 컴파일해야됨 ---------------------------------------------------------------------- $Esc:: ret := IME_CHECK("A") if %ret% <> 0 ; 1 means IME is in Hangul(Korean) mode now. { Send, {Esc} Send, {vk15} ;한글인 경우 Esc키를 입력하고 한영키를 입력해 준다. } else if %ret% = 0 ; 0 means IME is in English mode now. { Send, {Esc} ;영문인 경우 Esc키만 입력한다. } return /* IME check */ IME_CHECK(WinTitle) { WinGet,hWnd,ID,%WinTitle% Return Send_ImeControl(ImmGetDefaultIMEWnd(hWnd),0x005,"") } Send_ImeControl(DefaultIMEWnd, wParam, lParam) { DetectSave := A_DetectHiddenWindows DetectHiddenWindows,ON SendMessage 0x283, wParam,lParam,,ahk_id %DefaultIMEWnd% if (DetectSave <> A_DetectHiddenWindows) DetectHiddenWindows,%DetectSave% return ErrorLevel } ImmGetDefaultIMEWnd...

VIM ESC키 한글 문제 해결 방법(macos)

 mac에서 vim 사용시 normal 모드 자동변환 문제 해결하기 앱 다운로드 : https://github.com/Hammerspoon/hammerspoon/releases/tag/1.0.0 다운로드한 앱을 Application으로 이동 한 후 실행하면 보안관련 설정해주기 'Open Config' 메뉴를 선택한 후 아래 내용으로 변경 다 입력했으면 'Reload Confg' 메뉴 선택 한글로 입력도중 'ESC'키를 누르면 무조건 영어로 변환된다. -- key mapping for vim -- Convert input soruce as English and sends 'escape' if inputSource is not English. -- Sends 'escape' if inputSource is English. -- key bindding reference --> <https://www.hammerspoon.org/docs/hs.hotkey.html> local inputEnglish = "com.apple.keylayout.ABC" local esc_bind function convert_to_eng_with_esc() local inputSource = hs.keycodes.currentSourceID() if not (inputSource == inputEnglish) then hs.eventtap.keyStroke({}, 'right') hs.keycodes.currentSourceID(inputEnglish) end esc_bind:disable() hs.eventtap.keyStroke({}, 'escape') esc_bind:enable() end esc_bind = hs.hotkey.new({}, 'escape', convert_to_eng_with_esc)...

macos에서 right option 키를 한영키로 만들기

  hidutil key remapping generator for macos 사이트 : https://hidutil-generator.netlify.app/ 만드는 순서 리매핑 사이트 들어가서 right_option 을 f19 로 만드는 설정 카피 <?xml version="1.0" encoding="UTF-8"?> <!DOCTYPE plist PUBLIC "-//Apple//DTD PLIST 1.0//EN" "<http://www.apple.com/DTDs/PropertyList-1.0.dtd>"> <plist version="1.0"> <dict> <key>Label</key> <string>com.local.KeyRemapping</string> <key>ProgramArguments</key> <array> <string>/usr/bin/hidutil</string> <string>property</string> <string>--set</string> <string>{"UserKeyMapping":[ { "HIDKeyboardModifierMappingSrc": 0x7000000E6, "HIDKeyboardModifierMappingDst": 0x70000006E } ]}</string> </array> <key>RunAtLoad</key> ...

WSL2 우분투에서 신규 jdk를 alternatives로 설정하기

이미지
  아래 폴더가 없다면 만들어주기. 기존에 apt로 jdk를 설치한적이 있다면 없을리 없음 $ sudo mkdir -p /usr/lib/jvm 다운로드한 jdk를 위 경로에 복사하여 압축풀리 $ sudo tar -zxf ~/Downloads/openjdk-24_linux-*_bin.tar.gz -C /usr/lib/jvm/ alternatives를 이용하여 default로 설정하기 $ sudo update-alternatives --install /usr/bin/java java /usr/lib/jvm/jdk-24/bin/java 1 $ sudo update-alternatives --install /usr/bin/javac javac /usr/lib/jvm/jdk-24/bin/javac 1 $ sudo update-alternatives --install /usr/bin/jar jar /usr/lib/jvm/jdk-24/bin/jar 1 $ sudo update-alternatives --config java $ sudo update-alternatives --config javac $ sudo update-alternatives --config jar 제거하기 sudo rm -R /usr/lib/jvm/jdk-24 sudo update-alternatives --remove java /usr/lib/jvm/jdk-24/bin/java sudo update-alternatives --remove javac /usr/lib/jvm/jdk-24/bin/javac sudo update-alternatives --remove jar /usr/lib/jvm/jdk-24/bin/jar 상세내용은 유튜브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