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팔로 무선공유기 WZR-HP-G450H
버팔로 무선공유기 WZR-HP-G450H 입니다. 애플스토어(store.apple.com)를 돌아다니다가 에어포트라는 것을 보고 usb를 지원하는 공유기가 있으면 편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네요. 애플제품이 늘 그렇듯이 에어포트 가격(http://store.apple.com/kr/browse/home/shop_mac/mac_accessories/airport_wireless 이 만만치 않습니다. 결국 인터넷 서핑 후 버팔로 제품이 지원하는 걸 알게되었는는데요. 뭐, 이 역시 낮은 가격은 아니지만 일단 구매를 했습니다.
네이버 가격비교(http://shopping.naver.com/detail/detail.nhn?cat_id=01060106&nv_mid=5884489697&frm=nv_model)에서
가격을 확인해보세요. 구성품은 여기 -> http://blog.naver.com/ggqqaa/60153170575 블로그에서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아래 사진은 벽에 설치 완료한 상태의 사진입니다.
1. 하드웨어 설치
다른 공유기들보다는 쬐금더 구성품이 많긴 하지만 크게 어려운 정도는 아닙니다. 처음 공유기 설치하는 분들을 위한 설명서도
적당한 편이라 크게 어렵진 않을 거라 생각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사진에서와 같이 벽에 고정시킨 경우입니다.
2. 무선 설정
보통의 무선공유기들이 처음에는 그냥 접속 가능하도록 공장 출시시 세팅되어 나오는데 이것은 처음부터 암호를 입력하도록 무선설정이 되어서 나오기때문에 초보자들에게는 조금 어려울 수 도 있습니다. 설명서 잘 읽어보시고 세팅하시기 바랍니다. 이 공유기에는 AOSS라는 기능이 있던데요. 저도 처음보는 거라 인터넷을 좀 검색해보니 주로 일본에서 게임기기들의 무선 설정을 쉽게 해주는데 사용되는 기능이라 하더군요. (aoss란 -> http://sephirot2.blog.me/50036511649 ).
무선 설정을 한번이라도 해보신분들이라면 설치프로그램 설치안하시고 아래처럼 진행하시는게 나을듯 합니다.
가. 우선 공유기의 하드웨어적인 설치는 완료하시구요(인터넷모뎀연결 등등). 제품 옆면에 바코드가 붙어있는 스티커쪽을 보시면 ssid와 key가 적혀있을 것입니다. 이것을 잘 메모해둡니다.
나. 무선장치(노트북, 스마트폰)에서 네트워크 검색에서 메모해둔 ssid와 일치하는 이름을 선택합니다. key를 입력하라고 나타나면 key를 입력합니다.
다. 연결이 되면 브라우저를 실행시키고 주소창에 192.168.11.1 를 입력 후 엔터를 치면 암호를 묻습니다. 초기값은 아이디는 root이구요 비밀번호는 없습니다.
라. 접속후 각 메뉴 살펴보면서 설정을 변경해주시면 됩니다.
마. ssid와 패스워드를 변경하려면 메뉴 [무선 구성] > [기본(11n/g/b)] 에서 바꿔주시면 됩니다. 이걸 바꾸면 무선장치의 설정을 다시 바꿔주어야 합니다.
바. 공유기 환경 설정접속시(다 항목) 사용했던 root 의 패스워드는 최초에는 없는 상태이므로 [관리구성] > [암호] 에서 꼭 바꿔주세요.
3. 기능
WZR-HP-G450H 모델의 기능은 동일 시리즈 모델 중에서 최고 사양인 만큼 기능이 많은데요. 네트워크 지식이 있다면 집이나 작은 사무실에서 이것저것 세팅해볼만한 기능이 많은 것 같습니다. usb포트를 이용하면 네트워크 프린터 기능이 없는 프린터를 네트워크 프린터로 세팅할 수 도 있습니다. 기능은 저도 아직 잘 모르므로 그때그때 세팅하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4. 속도/스마트폰 연결
케이스에는 무선 450Mbps, 유선은 기가라고 되어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수치화한 속도 테스트보다는 몸으로 느끼는 수치를 더욱 중요시하는데요 제가 기존에 가지고 있는 공유기가 워낙 성능이 나뻤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속도는 아주 만족스럽습니다. 스마트폰, 태블릿 연결도 아주 수월하게 되더군요.
5. 구매한다면...
비싼 가격인만큼 구매 체크리스트가 필요할 듯 합니다. 연결해서 사용할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의 기기가 몇 대 안된다면 낮은 사양의 공유기를 구매하시는 것이 좋구요. 프린터를 네트워크로 공유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라면 구매를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컴퓨터에 연결된 프린터를 공유해서 사용하는 것과는 다른 겁니다.
(2012/02/04 18:48에 작성된 글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