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치는 아키텍처 - 개발공정

### 목차
- [(서문) 개발공정](https://ohhoonim.blogspot.com/2024/02/blog-post_62.html) <- 현재문서
- [1. 이벤트스토밍](https://ohhoonim.blogspot.com/2024/02/blog-post_47.html) 
- [2. 유스케이스 구현](https://ohhoonim.blogspot.com/2024/02/blog-post_92.html) 
- [3. 인프라 테스트](https://ohhoonim.blogspot.com/2024/02/blog-post_39.html) 
- [4. UI 구현](https://ohhoonim.blogspot.com/2024/02/ui_21.html)

## 기본 구성
이벤트 스토밍, 유스케이스 구현, 인프라 테스트, 사용자 화면 구현의 총 4가지 공정으로 구성되어있다. 각 공정은 명시한 순서대로 진행하되 다음 공정에 자신의 공정 결과물을 소리쳐야 한다. (그림 참고) 예외 적으로 사용자 화면 구현 공정은 이벤트 스토밍 후  UX 설계를 거쳐 다소 독립적으로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개발공정 수행흐름](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b/R29vZ2xl/AVvXsEjErbXcZivLhYTX5dK7pF5ffqLZyTM2reYLLJ3vUpQ7S944BSmtPMiupPo9Dj4SOmeQZXxwmfDNF4vxDl0QKToh053Srcm6o8e4alDKEA3pU6rLZVi3RKBvsyCKDfXu0hmOTYWaGRCyV5p-VVg6_wj9o4wQsBS554Ab1IP8L90UGXulyRDfI4qiP-gqSmg/s542/%E1%84%89%E1%85%B3%E1%84%8F%E1%85%B3%E1%84%85%E1%85%B5%E1%86%AB%E1%84%89%E1%85%A3%E1%86%BA%202024-02-21%20%E1%84%8B%E1%85%A9%E1%84%8C%E1%85%A5%E1%86%AB%206.55.47.png)

## 반복 공정
모든 개발 공정이 예측가능한 것은 아니다. 초기 시스템 분석 단계인 이벤트 스토밍 공정에서는 다수의 프로젝트관련자들이 요구사항을 분류, 정제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언제나 변경 가능한 상태이므로, 공정 수행자는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고 맞춰나가야한다. 이를 적응 계획[^예측계획과적응계획]이라 한다. 
이벤트 스토밍이 유스케이스별로 구분되기 시작하면 일정수립이 가능해진다. 이를 예측 계획이라고 하며, 일정에 따라 다음의 공정 묶음으로 반복 수행이 가능해진다.

[^예측계획과적응계획]: [[UML Distilled(third edition)#^49626e|Martin Fowler, "UML Distilled(third edition)", (Pearson, 2004)]], p.28

1. 유스케이스 구현과 인프라 테스트
2. 이벤트 스토밍과 UI구현
엄밀히 말하면 이벤트 스토밍 자체는 예측 계획이 불가능한 공정이다. 하지만 UI 구현 공정의 계획일정과 긴밀하게 공정을 수행하면 반복적으로 계획을 진행할 수 있다. 
## 공정별 세부사항
### 이벤트 스토밍
[이벤트스토밍](https://ohhoonim.blogspot.com/2024/02/blog-post_47.html) 페이지로 이동하기
### 유스케이스 구현
[유스케이스 구현](https://ohhoonim.blogspot.com/2024/02/blog-post_92.html) 페이지로 이동하기
### 인프라 테스트
[인프라 테스트](https://ohhoonim.blogspot.com/2024/02/blog-post_39.html) 페이지로 이동하기
### UI 구현
[UI 구현](https://ohhoonim.blogspot.com/2024/02/ui_21.html)
## 적용사례
[[클린아키텍처]]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Session 대신 JWT를 사용하는 이유

VSCode에서의 VIM 단축키와 키보드 구매 가이드

우분투에서 테스트링크(testlink)와 맨티스(mantis)로 테스팅 서버 구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