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s에 대하여

## 상품
- 시장에서 매매되는 재화나 용역
## 유형과 무형
- 유형 : 식품, 의류, 가전 등의 재화가 주종을 이룬다
- 무형 : 주식, 보험 등의 금융상품과 컨설팅, 서비스와 같이 편의를 재공하는 용역이 있다. 
## 재화와 용역
- 부가가치세법에서의 정의를 살펴보자. 둘 다 그 범위는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재화: 재산 가치가 있는 물건 및 권리를 말한다. 
	- 용역 : 재화 외에 재산 가치가 있는 모든 역무와 그 밖의 행위를 말한다.
- 조금 더 구체적으로 들어가 보자
	- 재화
		- 재산적 가치가 있는 모든 유체물과 유체물을 말한다.
		- 유체물 : 상품, 제품, 원료, 기계, 건물과 기타 모든 유형적 물건을 포함한다.
		- 무체물 : 동력, 열 기타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 및 권리 등으로서 재산적 가치가 있는 유체물 이외의 모든 것을 포함한다.
		- 따라서, 물, 흙, 퇴비 등은 재화의 범위에 포함하며, 재산적 가치가 없는 것은 재화의 범위에 포함하지 않는다.
	- 용역
		- 재화 이외의 재산적 가치가 있는 모든 역무
		- 건설, 숙박, 음식, 운수, 통신, 금융, 보험, 부동산, 임대, 사업서비스업, 공공행정, 국방,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 보건, 사회복지, 오락, 문화, 운동, 공공, 수리, 개인서비스, 가사서비스, 국제 및 외국기관
## 가치Value
- 상품의 가치는 가격 결정 과정을 수반한다.
- 이 과정은 공급과 수요 측면에서의 각각의 비용에 대한 조정 과정이다.
- 수요와 공급만으로는 가치를 설명할 수 없다.
## 비용Cost
- 재화를 생산하거나 용역을 공급하는데는 비용이 든다.
- 재화를 구매하거나 용역을 이용하려면 비용이 든다. 
- Cost = Expense(expired) + Asset(expired)
## 코드는 expense일까 asset일까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Session 대신 JWT를 사용하는 이유

VSCode에서의 VIM 단축키와 키보드 구매 가이드

우분투에서 테스트링크(testlink)와 맨티스(mantis)로 테스팅 서버 구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