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 내용은 https://docs.spring.io/spring-framework/reference/web/webflux/new-framework.html 의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번역한 것도 조금 있음)
## SpringWebFlux가 만들어진 이유
- 적은 수의 스레드로 동시성을 처리하고, 더 적은 하드웨어 리소스로 구동할 non-blocking 웹 스택이 필요하였다. 서블릿을 사용한 방법은 이것을 충족히켜주지 못했다.
- non-blocking 을 구현하기위해서는 언어적 지원도 필요한데 jdk 8 부터 functional 프로그래밍이 가능해졌다. (자바스크립트에서의 화살표 함수를 생각해보자)
## "Reactive" 란
- 보통 반응형이라고 하면 브라우저 사이즈가 변하거나, 마우스 클릭을 했을때 이벤트를 발생하는 것을 말하지만, I/O 이벤트에 반응하는 네트워크도 반응한다고도 할 수 있다.
- 따라서, 네트워크에서의 "반응적"이란 요소는 non-blocking과 관련이 깊다. nodejs가 폭발적인 성장을 한 이유가 이것일 것이다.
- non-blocking 이 잘 이해가 안된다면 "event-loop"를 공부하자
## Spring WebFlux가 선택한 라이브러리
- "Reactor"를 사용하고 있다.
- project reactor : https://projectreactor.io/
- webflux를 공부하려면 reactor 공식 문서를 보자
## 서버
- Spring WebFlux는 Tomcat, Jetty, Netty, Undertow에서 사용할 수 있다.
- Tomcat, Jetty는 MVC와 WebFlux를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법이 매우 다르다.
- Undertow는 ServletAPI 없이 Undertow API를 직접 사용한다.
## 성능
- 성과에는 많은 특징과 의미가 있습니다. [반응형 및 비차단 방식은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실행 속도를 더 빠르게 만들지 않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WebClient`원격 호출을 병렬로 실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그러나 [비차단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하려면 더 많은 작업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필요한 처리 시간이 약간 늘어날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및 비차단형의 주요 예상 이점은 작고 고정된 수의 스레드와 더 적은 메모리로 확장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는 애플리케이션이 더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확장되기 때문에 로드 시 애플리케이션의 탄력성을 높여줍니다. 그러나 이러한 이점을 관찰하려면 약간의 대기 시간(느리고 예측할 수 없는 네트워크 I/O 혼합 포함)이 필요합니다. 이것이 바로 반응성 스택이 강점을 보이기 시작하는 지점이며, 그 차이는 극적일 수 있습니다.
## WebFlux 정말 써야 할까
- 외부 api호출을 위한 webclient를 사용하는 것 이상으로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 statck 자체가 다르므로 또다른 프레임워크를 익히는 것과 다를바 없다.
- jdk21 에 virtual thread가 지원되기 시작했다. 비교문서에서는 가상스레드가 성능이 더 좋다는 결과가 많다.
- reactive stack을 아는 개발자를 구할 수 없다.
- 공식문서에도 적혀있지만 reactive를 사용한다고 해서 속도가 더 빨라지지 않는다. 적은 리소스를 조금 더 활용할 수 있는 정도이다.
- reactive는 nodejs를 시키자.
Session 대신 JWT를 사용하는 이유 실 서버는 하나의 인스턴트로만 동작하지 않는다. 서버의 고가용성(high availabliity, HA)을 확보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병렬서버로 운영하게 된다. 서버가 병렬로 운영되는 상황에서 세션을 사용하면 각 서버간의 세션을 동기화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유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세션공유 기법들을 사용하기도 한다. 서버가 많아지면 세션동기는 더 어렵다. JWT를 사용하면 세션사용으로 인한 서버 자체에 부담도 줄이면서 공유 세션에 대한 관리가 한층 수월하다. 스프링 시큐리티 - SecurityConfig.java session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 jwtAuthFilter 추가 httpBasic 제거 - JwtAuthenticationFilter.java config.filter 패키지에 파일 추가 jwt dependency 추가 (3개). gradle refresh하는 거 까먹지 말기 config.service 패키지에 [JwtService.java](http://JwtService.java) 추가 jwtService와 UserDetailService final field 추가. @RequiredArgsConstructor 까먹지 말기 - config.service.JwtService 소스 참조해서 파일 작성 - controller, service 수정 User 를 리턴하면 pwd가 그대로 노출되므로 AuthResponse와 AuthRequest로 교체 Github https://github.com/ohhoonim/factory.git 유튜브 영상 스프링부트 - 보안 JWT JWT - refresh 토큰과 logout
``` [!NOTE] Winddows와 Macos macos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거의 대부분 macos의 `Cmd`키를 `Ctrl`키로 변경하면 windows에서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음 ``` # VSCode 단축키 - `Cmd + p` : 파일 오픈을 위한 palette - `Cmd + shift + p` : 명령어 실행을 위한 palette. `Cmd + p` 한 다음 '>'를 입력해도 됨 - `Cmd + shift + o` : 현재파일에서 심볼 찾기 (field, method, function 등). `Cmd + p`한 다음 '@'를 입력해도 됨 - `Cmd + Opt + ` : 열려있는 편집기 전환 - `Cmd + shift + e` : 편집기와 탐색기를 전환 함. (탐색기에서 vim 커서 이동 키도 동작한다는 것이 핵심) - `Cmd + Opt + ` : 열모드로 블럭 지정. (VIM단축키와 조합하면 최상임. 이건 글로 설명이 안됨) --- ``` [!NOTE] VSCode용 Vim 확장 - 여기서는 vscodevim 에서 제작한 Vim 확장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Vim 단축키는 다를 바 없다. - `esc`키를 눌러 Normal모드 진입시 '한글' 입력상태인 경우 많이 불편하다. '한영'을 자동으로 변환해주는 여러 방법들을 써봤지만, 몇 일 지나면 풀려서 잘 동작 안한다. 그냥 Normal 모드 진입시 '한영'변환을 신경써서 잘 해주자. (시간낭비하지 마세요) - macos의 경우 `Cmd`키와 `Caps`키를 바꾸자. - Windows의 경우 `Ctrl`키와 `Caps`키를 바꾸자. (써보면안다. 얼마나 편한지) ``` ``` [!warning] - 표기된 모든 단축키는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 (shift 입력하기 귀찮아서임) - `잘라내기`라고 표기한 것은 `붙여넣기`가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 VIM 모드 전환은 직...
설치하기에 앞서 테스팅 이야기 ISO/IEC/IEEE 29119 에서는 소프트웨어 테스팅의 표준standard에 대해 정의하고 있습니다. 돈받고 파는 문서를 '표준'이라고 번역하기는 좀 껄끄러운데요. 'standard'는 비지니스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잘 정리된 '가이드' 정도가 올바른 번역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소프트웨어에 표준이 있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마는 no silver bullet 이라는 말도 있듯이 이건 그냥 iso에서 제시하는 가이드일 뿐이라는 것이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뭐 대단한거 한다고 시작하는데 말이 많군요. (^^;) 29119 part2에서는 테스트프로세스를 다루고 있구요. 이 중 test management process 항목이 있습니다. 어딜가나 비지니스가 끼어드니 management는 빠지는 곳이 없네요. 먹고살려면 어쩔수 없죠. 경영진을 설득하기 위한 부단한 연구라고 인정하는 수밖에. 출처 : http://softwaretestingstandard.org/part2.php 테스팅 서버를 구성하는 이유는 test management process 관점에서 'test monitoring & control'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위 그림에서 가운데 노란색 박스) testlink 는 오픈소스로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툴이며 monitoring과 control을 위해 적절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맨티스는 testing completion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테스팅 조직과 개발 조직간의 협업툴로서 이용될 수 있습니다. 개발조직에서는 맨티스와 같은 버그 리포트 툴을 사용하고 있으며 bugzilla, jira와 같은 다른 버그리포트 툴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monitoring & control 을 수행하기 위한 테스팅 환경 구축이라고 보시...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