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들어가기전
- 소스 : https://github.com/ohhoonim/collections-java.git
- 컬렉션, 함수형프로그래밍, 스트림
## 컬렉션
- 컬렉션이란?
- '컬렉션' === '데이터집합'
- 전공자들이 배우는 자료구조와는 살짝 다른 것 임
- 수학에서 배우는 집합과는 조금 다른게 교집합, 합집합 이런 건 없음.
- 컬렉션을 객체로 볼까 말까
- 컬렉션을 단순히 여러 객체를 한번에 가리키는 역할로만 볼 수도 있지만 컬렉션 자체를 객체로 볼 수도 있다.
- 컬렉션을 객체로 취급하면 매개변수 전달시 참조 호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참조 호출이므로 컬렉션 내의 값을 변경하면 컬렉션이 변경될 수 있다.
- 컬렉션과 제네릭
-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집합을 다루려면 매번 데이터집합 타입에 맞는 컬렉션 클래스를 작성할 순 없다.
- 예제코드 : [CollectionIsObject.java]
- 어떤 컬렉션을 쓸가
- Collection vs Iterable vs List ??
- 컬렉션이 표현하는 개념
- 크기
- 원소간 순서
- 원소의 독자성
- 켈렉션을 선택했다는 것은 개발자의 성능에 대한 의도를 드러낸다
## 컬렉션 인터페이스와 구현체
- 예제코드 : [CollectionInterfaces.java]
- 배열 : 크기 고정. 가장 단순한 형태
- Iterable : 순차 열람을 지원하는 컬렉션
- Collection : 원소 추가, 제거 기능
- ArrayList : 기본 구현체이다.
- List : 원소의 순서가 있으며, 위치 정보(index)를 통해 접근 가능
- ArrayList : 원소 검색시 장점이 있다
- LinkedList : 원소 수정시 장점이 있다.
- Set : 중복된 원소가 없는 컬렉션
- HashSet : 빠르지만 순서는 보장하지 않는다
- LinkedHashSet : 순서를 보장하지만 조금 느리다
- TreeSet : 원소를 정렬해주지만 수정시 logN에 비례한다.
- SortedSet : 중복 원소가 없으면서 원소간 순서가 정해진 컬렉션
- Map : 키(key)에 의해 원소에 접근
- HashMap: 빠르지만 순서는 보장하지 않는다
- LinkedHashMap : 원소간 순서를 보장한다
- TreeMap : 키에 따라 순차열람이 가능하지만 수정시 logN에 비례한다.
- 유틸 클래스 : Collections
- 예제코드 : [CollectionUtil.java]
## 스트림 들어가기전 함수형 프로그래밍
- 컬렉션과 스트림
- Stream은 Collection을 대체하려고 만든 것이 아니다.
- 조합해서 잘 쓰면 된다.
- 다섯 형태만 기억하자
- consumer : input만 있는 형태
- supplier : output만 있는 형태
- function : input/output이 모두 있는 형태
- predict : 참/거짓을 판별하는 형태
- runner : input/output 이 없는 형태
- 예제코드 : [Functional.java]
## 스트림 연산과 파이프라인
- intermediate operation : return a new stream. They are always _lazy_;
- stateless : filter, map, flatMap, peek
- stateful : distinct, sorted, skip, dropWhile
- short-circuiting, limit, takeWhile
- terminal operation
- forEach, forEachOrdered, toArray, reduce, collect, toList, min, max, count
- short-circuiting : anyMatch, allMatch, noneMatchj, findFirst, findAny
```java
int sum = widgets.stream()
.filter(w -> w.getColor() == RED)
.mapToInt(w -> w.getWeight())
.sum();
```
## 스트림 필수 유틸 클래스 : Collectors
```java
// Accumulate names into a List
List<String> list = people.stream()
.map(Person::getName)
.collect(Collectors.toList());
// Accumulate names into a TreeSet
Set<String> set = people.stream()
.map(Person::getName)
.collect(Collectors.toCollection(TreeSet::new));
// Convert elements to strings and concatenate them, separated by commas
String joined = things.stream()
.map(Object::toString)
.collect(Collectors.joining(", "));
// Compute sum of salaries of employee
int total = employees.stream()
.collect(Collectors.summingInt(Employee::getSalary));
// Group employees by department
Map<Department, List<Employee>> byDept = employees.stream()
.collect(Collectors.groupingBy(Employee::getDepartment));
// Compute sum of salaries by department
Map<Department, Integer> totalByDept = employees.stream()
.collect(Collectors.groupingBy(Employee::getDepartment, Collectors.summingInt(Employee::getSalary)));
// Partition students into passing and failing
Map<Boolean, List<Student>> passingFailing = students.stream()
.collect(Collectors.partitioningBy(s -> s.getGrade() >= PASS_THRESHOLD));
```
Session 대신 JWT를 사용하는 이유 실 서버는 하나의 인스턴트로만 동작하지 않는다. 서버의 고가용성(high availabliity, HA)을 확보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병렬서버로 운영하게 된다. 서버가 병렬로 운영되는 상황에서 세션을 사용하면 각 서버간의 세션을 동기화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유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세션공유 기법들을 사용하기도 한다. 서버가 많아지면 세션동기는 더 어렵다. JWT를 사용하면 세션사용으로 인한 서버 자체에 부담도 줄이면서 공유 세션에 대한 관리가 한층 수월하다. 스프링 시큐리티 - SecurityConfig.java session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 jwtAuthFilter 추가 httpBasic 제거 - JwtAuthenticationFilter.java config.filter 패키지에 파일 추가 jwt dependency 추가 (3개). gradle refresh하는 거 까먹지 말기 config.service 패키지에 [JwtService.java](http://JwtService.java) 추가 jwtService와 UserDetailService final field 추가. @RequiredArgsConstructor 까먹지 말기 - config.service.JwtService 소스 참조해서 파일 작성 - controller, service 수정 User 를 리턴하면 pwd가 그대로 노출되므로 AuthResponse와 AuthRequest로 교체 Github https://github.com/ohhoonim/factory.git 유튜브 영상 스프링부트 - 보안 JWT JWT - refresh 토큰과 logout
``` [!NOTE] Winddows와 Macos macos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거의 대부분 macos의 `Cmd`키를 `Ctrl`키로 변경하면 windows에서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음 ``` # VSCode 단축키 - `Cmd + p` : 파일 오픈을 위한 palette - `Cmd + shift + p` : 명령어 실행을 위한 palette. `Cmd + p` 한 다음 '>'를 입력해도 됨 - `Cmd + shift + o` : 현재파일에서 심볼 찾기 (field, method, function 등). `Cmd + p`한 다음 '@'를 입력해도 됨 - `Cmd + Opt + ` : 열려있는 편집기 전환 - `Cmd + shift + e` : 편집기와 탐색기를 전환 함. (탐색기에서 vim 커서 이동 키도 동작한다는 것이 핵심) - `Cmd + Opt + ` : 열모드로 블럭 지정. (VIM단축키와 조합하면 최상임. 이건 글로 설명이 안됨) --- ``` [!NOTE] VSCode용 Vim 확장 - 여기서는 vscodevim 에서 제작한 Vim 확장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Vim 단축키는 다를 바 없다. - `esc`키를 눌러 Normal모드 진입시 '한글' 입력상태인 경우 많이 불편하다. '한영'을 자동으로 변환해주는 여러 방법들을 써봤지만, 몇 일 지나면 풀려서 잘 동작 안한다. 그냥 Normal 모드 진입시 '한영'변환을 신경써서 잘 해주자. (시간낭비하지 마세요) - macos의 경우 `Cmd`키와 `Caps`키를 바꾸자. - Windows의 경우 `Ctrl`키와 `Caps`키를 바꾸자. (써보면안다. 얼마나 편한지) ``` ``` [!warning] - 표기된 모든 단축키는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 (shift 입력하기 귀찮아서임) - `잘라내기`라고 표기한 것은 `붙여넣기`가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 VIM 모드 전환은 직...
설치하기에 앞서 테스팅 이야기 ISO/IEC/IEEE 29119 에서는 소프트웨어 테스팅의 표준standard에 대해 정의하고 있습니다. 돈받고 파는 문서를 '표준'이라고 번역하기는 좀 껄끄러운데요. 'standard'는 비지니스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잘 정리된 '가이드' 정도가 올바른 번역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소프트웨어에 표준이 있다면 얼마나 좋겠습니까마는 no silver bullet 이라는 말도 있듯이 이건 그냥 iso에서 제시하는 가이드일 뿐이라는 것이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뭐 대단한거 한다고 시작하는데 말이 많군요. (^^;) 29119 part2에서는 테스트프로세스를 다루고 있구요. 이 중 test management process 항목이 있습니다. 어딜가나 비지니스가 끼어드니 management는 빠지는 곳이 없네요. 먹고살려면 어쩔수 없죠. 경영진을 설득하기 위한 부단한 연구라고 인정하는 수밖에. 출처 : http://softwaretestingstandard.org/part2.php 테스팅 서버를 구성하는 이유는 test management process 관점에서 'test monitoring & control'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위 그림에서 가운데 노란색 박스) testlink 는 오픈소스로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툴이며 monitoring과 control을 위해 적절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맨티스는 testing completion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테스팅 조직과 개발 조직간의 협업툴로서 이용될 수 있습니다. 개발조직에서는 맨티스와 같은 버그 리포트 툴을 사용하고 있으며 bugzilla, jira와 같은 다른 버그리포트 툴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monitoring & control 을 수행하기 위한 테스팅 환경 구축이라고 보시...
댓글
댓글 쓰기